0. 개발환경 구축(for Mac)
참고)https://dev-yakuza.posstree.com/ko/react-native/install-on-mac/
맥(Mac)에 react native 개발 환경 구축하기
react-native로 앱을 개발하기 위해 맥(Mac)에 개발 환경을 구축해 보고, react-native로 생성한 프로젝트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 봅니다.
dev-yakuza.posstree.com
1. Homebrew 설치 * Homebrew : 맥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맥용 패키지 관리자
2. Nodejs 설치 * Nodejs : RN의 언어인 Javascript의 런타임
3. Watchman 설치 * Watchman : 특정 폴더나 파일을 감시하다가 변화가 생기면,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정하는데 RN에서는 소스코드의 추가, 변경이 발생하면 다시 빌드하기 위해 사용
4. React Native CLI 설치
5. (for iOS) Xcode 설치 , Cocopods 설치
6. (for Android) JDK
7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, 환경 변수 설정
* Homebrew(brew)로 2~4, 6 설치
* React Native CLI(npx)로 react-native 프로젝트 생성
<오류 해결하기>
1)
[내용]
brew install ~ 오류로 3단계부터 계속 오류 발생
[에러메세지]
error: Not a valid ref: refs/remotes/origin/master
fatal: ambiguous argument 'refs/remotes/origin/master': unknown revision or path not in the working tree.
[ 해결방법 ]
rm -fr $(brew --repo homebrew/core)
https://github.com/Homebrew/brew/issues/10368#issuecomment-777954883 참고
2)
[내용]
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환경 변수 설정 시 .bash_profile 파일 존재x
[해결방법]
touch .bash_profile 로 직접 파일 생성 후 환경변수 설정 내용 작성
3)
[내용]
회사 앱 실행 시 에뮬레이터가 없다고 하면서 실행되지 않음
[에러메세지]
Failed to launch emulator. Reason: No emulators found as an output of `emulator -list-avds
[해결방법]
~/.bash_profile 은 설정해주었는데, ~/.zshrc 파일은 설정해주지 않았었다.
vi ~/.zshrc 를 입력해 파일을 열고 아래 코드를 붙여넣어주자.
참고로 ANDROID_HOME 에는 sdk 경로가 들어가야 한다. android studio > configure > sdk manager 에서 확인 가능하다.
export ANDROID_HOME=$HOME/Library/Android/sdk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emulator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tools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tools/bin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platform-tools
출처 : https://anywaydevlog.tistory.com/16
3)
[내용]
에뮬레이터 개 오래걸린다..